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백준] 2579 계단 오르기 (Python 파이썬) https://www.acmicpc.net/problem/2579 2579번: 계단 오르기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 www.acmicpc.net 문제 설명 위 링크에 주어진 문제 설명처럼, 계단을 오르는 문제이다. 단, 3번 연속된 계단을 이어서 오를 수는 없으며 마지막 계단은 무조건 밟아야 한다. 풀이 과정 이 문제는 DP(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해 앞에서 부터 최대값을 저장해 나가야 한다. 현재 계단을 밟는다면, 이전과 이이전을 연속해서 밟으면 안된다. 따라서, 현재 계단의 최댓값은 현재 + 이전 + 이이이전 or 현재 + 이이전 중에 선택을 .. 더보기
[백준] 1932 정수 삼각형 (Python 파이썬) 문제 설명 https://www.acmicpc.net/problem/1932 1932번: 정수 삼각형 첫째 줄에 삼각형의 크기 n(1 ≤ n ≤ 500)이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정수 삼각형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주어진 그림처럼 삼각형 모양으로 숫자가 주어진다. 맨 위부터 시작해 제일 아래쪽으로 탐색을 하게되는데, 현재 지점에서 다음 지점(아래 지점)으로 이동할 때는, 왼쪽대각선과 오른쪽 대각선으로만 갈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탐색했을 때, 탐색경로에 있는 숫자들을 모두 더했을 때의 최대가 되는 경로를 구하는 문제이다. 풀이 과정 이 문제는 DP(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해 앞에서부터 최댓값을 저장해나가며 푸는 문제이다. 가장 첫번째 열에 있는 숫자(7, 3, 8,.. 더보기
Context Switching(문맥교환) Context(문맥 / 콘텍스트) 컨텍스트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혹은 사용자와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개체 등의 현재 상태를 규정하는 정보들이다. OS에서의 컨텍스트는 CPU가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해당 프로세스의 정보들이다. 이러한 컨텍스트는 프로세스의 PCB(Process Control Block)에 저장된다. PCB(Process Control Block) PCB란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을 수 있는 저장 장소를 뜻한다. PCB는 프로세스 생성 시 만들어지며 주기억장치에 유지된다. 프로세스 상태 관리와 컨텍스트 스위칭을 위해 필요하다. 위 이미지는 PCB의 정보 저장 구조에 관한 이미지이고 PCB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 더보기
CPU의 구조와 원리 중앙처리장치(CPU)란? 중앙처리장치(CPU)는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등의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장치이다. 다양한 입력 장치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 CPU는 사람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의 모든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는 가장 핵심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CPU의 구성요소 CPU는 크게 제어 장치, 연산 장치(ALU), 레지스터 와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내부 버스로 구성되어 있다. 1. 제어 장치 (CU, Control Unit)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을 통제하고 지시하는 장치 기억 장치로부터 프로그랭 명령을 순차적으로 꺼내 해독하고, 해석에 따라서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 더보기
프로세스와 스레드 (Process vs Thread) 오늘은 운영체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꼽히는 프로세스와 스레드 및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알아보기 전에 프로그램 이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야 한다. 프로그램 프로그램이란, 파일이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만 메모리에는 올라가지 않은 정적인 상태를 말한다. 즉, 메모리에 올라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지 않은 상태이며 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 실행되지 않고 가만히 있는 상태이다. 즉, 그냥 코드 덩어리 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이를 인지한 후, 본격적으로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알아보자. 프로세스 프로세스란,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것은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인 메.. 더보기
[백준] 20057 마법사 상어와 토네이도 (Python 파이썬) https://www.acmicpc.net/problem/20057 20057번: 마법사 상어와 토네이도 마법사 상어가 토네이도를 배웠고, 오늘은 토네이도를 크기가 N×N인 격자로 나누어진 모래밭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위치 (r, c)는 격자의 r행 c열을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모래의 양을 www.acmicpc.net 문제 설명 문제의 자세한 설명은 위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이 문제는 구현 시뮬레이션 문제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꽤 많고 상세합니다. 빠짐없이 체크하여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구상한 후에 구현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풀이 과정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graph = [] graphIdx = dequ.. 더보기
[백준] 20056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볼 (Python 파이썬) https://www.acmicpc.net/problem/20056 20056번: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볼 첫째 줄에 N, M,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파이어볼의 정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파이어볼의 정보는 다섯 정수 ri, ci, mi, si, di로 이루어져 있다. 서로 다른 두 파이어볼의 위치 www.acmicpc.net 문제 설명 문제의 자세한 설명은 위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이 문제는 구현 시뮬레이션 문제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꽤 많고 상세합니다. 빠짐없이 체크하여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구상한 후에 구현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풀이 과정 ① 먼저 초기의 파이어볼을 입력받은 후에 fireball라는 큐와 graph의 각 칸에 파이어볼을 삽입합니다. firebal.. 더보기
[백준] 21609 상어 중학교 (Python 파이썬) 문제 설명 https://www.acmicpc.net/problem/21609 21609번: 상어 중학교 상어 중학교의 코딩 동아리에서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진행되고, 초기에 격자의 모든 칸에는 블록이 하나씩 들어있고, 블록은 검은색 블록, 무지개 블록, 일반 블록 www.acmicpc.net 문제의 설명이 굉장히 긴 편이라 위 링크의 문제를 꼼꼼히 읽어보시고 풀이과정을 살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인 BFS/ DFS 문제보다 신경써서 구현해야 할 부분들이 훨씬 까다로운 문제이므로 과정을 하나하나 잘 살펴보면서 구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풀이 과정 먼저 두 방법으로 풀면서 코드를 두 가지로 작성해보았습니다. 코드①은 구현해야 할 부분들을 그대로 나열식으로 작성한 코드.. 더보기